18_박주원, 류한길, 진상태

image 1. 오후 4시부터 닻올림에 와서 공연준비를 했다. 공연장은 이미 알려주신 대로 작았지만 개인적인 소리의 공간에 관객을 초대 하는 것 같아 준비를 열심히 했다. 공연은 나의 세트로 시작 해서 진상태+류한길씨와 함께 하는 트리오 즉흥연주로 이어졌다.

2. 솔로 세트

나의 솔로 세트는 3개의 연주곡과 2개의 미리 녹음된 곡을 번갈아 가며 들려주는 식으로 진행 되었다. 첫 곡은 컨택트 마이크를 이용해  여러가지 물체의 소리를 증폭시키고 변화시킨 Toccata 라는 곡이었고 다음 연주곡은 아프리카 전통악기인 음비라(또는 칼림바)를 이용한 Retrace 라는 곡 이었다. 마지막 연주곡은 알고리즘을 통해 만들어지는 컴퓨터 소리에 멜로디온을 연주하는 Introvert 라는 곡이었다. 이 세 곡 준비하는 사이엔 빗소리, 개구리, 사인파, 피아노 음등을 이용한 짧은 곡을 틀어 흐름이 끊기지 않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번 세트에선 많은 움직임과 복잡한 소리로 시작해 작은 움직임과 단순한 소리로 끝나는 서서히 없어지는 느낌의 데크레센도를 그릴려고 했다.  관중들 중 한 분은 내 음악을 졸면서 들었는데 좋았다고 했다. 내 음악을 들으면서 편하고 반쯤 몽롱한 상태에서 들었다는걸로 해석하겠다.

3. 즉흥 합주

즉흥3중주에서 나는 솔로세트에서 사용한 장비를 사용해 컴퓨터를 이용한 소리의 확장을 마음에 두고 연주하였다. 진상태 씨는 자동차 경적에 여러가지 진동판과 공명관을 부착하며 다양한 음색을 만들었으며  류한길씨는 여러대의 작은 모터에 기타줄, A4용지, 스틱등을 부착해 그것들을 전자음으로 조종하며 타악기적인 소리를 냈다.

image 진상태씨와 류한길씨와는 연주당일 이전에 한번도 만난적이 없지만 합주동안 여러가지 방식으로 긴밀한 이야기를 나눈 것 같다. 나는 두 분의 소리에 최대한 대답과 질문을 할려고 한것 같다. 상태씨의 나팔이 긴 음을 내면 그에 공명이 될 피리소리를 낼려고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한길씨의 모터가 만들어내는 어떤 생물이 후다닥 달려가는 듯한 소리에 나도 손가락으로 열심히 나무판을 긁어 가며 반응했던 기억도 난다.

4. 일정이 끝나고 돌아 왔는데도 공연때 느꼈던 소리와 분위기가 기억이 남았다. 아마 내가 좋아하는 Alvin Lucier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전자음과 소리, 그리고 음향의 관계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석하는 분들과 공연을 해서인 것 같다. 또한 공연이 끝난후 ‘잘 들었어요’ 라고 하기보단 내가 만들었던 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열성적으로 질문한 관객들도 인상에 남는다. 그 중 3박일정으로 한국에 관광온 일본 커플은 소녀시대 공연을 볼려다 표가 없어서 우리 공연에 왔다고 했는데 그말을 듣고 기분이 꽤 좋았다.

글_박주원 Joo Won Park
http://joowonpark.net
http://emusic.egloos.com

15_불특정한 언어

image * 처음 이 공연을 제의 받았을 때 “아주 작은 공간에서도 무용공연을 할 수 있나요?” 하는 질문에서부터였다. 무용을 하기에 아주 작은 공간이란 말은 내게 ‘제한’ 또는 ‘한계’라는 과제를 생각나게 했고 그것이 작업에 좋은 시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진상태 선생님도 그리고 나도 작은 공간에 맞는 제한된 움직임들을 찾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막상 연습을 하다 보니 작은 공간에 작지 않은 움직임들의 매치가 더 흥미롭기 시작했다. micro한 공간에 micro하지 않은 움직임들을 매치하기. 그러면서 생각나는 것들이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작은 집과 큰 사람이었고, 또 예전에 읽은 한 건축가의 책에서 공간에 대한 폭력을 이야기 하며 작은 엘리베이터에 가득 찬 사람들, 작은 교회에 장대 같은 높은 신발을 신고서 공연하는, 공간과 조화되지 않는 내용물들에 관함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우리의 춤이 공간에 비해 그만큼의 과대한 효과는 아니었을지 몰라도 그러한 아이디어와 시도들이 재미있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다른 초점은 ‘관점’ 이었다. 공간의 모양이 일반적인 사각이 아니고 부엌을 통한 복도도 있기에 이곳 저곳 다양한 공간의 모습들을 사용하려니, 관객에게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의 공연행위를 보여주려고 비디오 프로젝트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것이 실제 공연자의 행위와 화면을 통해 비춰지는 공연자의 모습의 방향이 바뀌는 재미있는 면들이 생겨났다. 그래서 실제로는 두 공연자들이 서로 마주보고 춤추고 있는데, 영상 화면에 의해 그들이 서로 다른 면을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지는 관점의 다양성이 생겨났다. _노경애 / 컨셉, 안무

image ** 공연장도 야외도 아닌 작은 오피스텔에서의 공연은 우리 공연에 여러 다양성과 가능성을 제시 해준 것 같다.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작게 움직여야 한다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큰 움직임으로 공간을 채워 나가는 시도 또한, 일반 공연장과는 다른 공간이기에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그곳에서만 느낄 수 있는 다른 재미와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어서 좋았다. 무엇보다 여러 소품들로 소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보고 느끼고 춤 출 수 있어 즐거웠다. _이희승 / 창작, 무용

*** 이 공연은 무용수가 나와 춤을 추고 그것의 음악을 제공해 주는 형식을 띄고 있지만, 나 스스로는 무용수들의 춤사위에서 나오는 소리들을 즉흥음악의 형태로 이해하는 공연을 생각했다. 즉 이 공연의 모든 무용수가 연주자라 생각하며 협연을 했다. 이런 생각을 처음 이 ‘불특정한 언어’를 제안 받고 나서부터 생각했었지만, 첫 공연했던 장소는 넓고 울림이 심한 곳이어서 무용수들의 모든 몸짓이 소리로 드러나기엔 어려웠다. 그래서 피에조를 이용한 발판을 마련한다든지, 모두에게 무선마이크를 장착한다든지 하는 생각들을 실천해 보았으나 크게 효과적이지는 못했고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간접적으로 개입을 하게 되는 좋지 않은 상황도 발생되었었다. 그러나 작고 밀집된 공간에서는 이 모든 것이 해결되었고 이것이 닻올림의 공간성으로도 살아 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쿠스틱으로 연주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 하드디스크를 어쿠스틱으로 연주했고, 나중에 다른 연주와 연계도 가능할 것을 예상되는 양철통들과 세가지 타입의 오르골을 하드디스크와 연계해 연주했다. 요즘 들어 관심이 가는 부분이 물체의 평행과 균형이 소리로 바뀌는 image부분인데 양철통들을 쌓아서 하드디스크의 움직임과 연계했던 부분은 결론적으로 무용에서의 ‘불균형’ 부분과 연결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경험으로 퍼포먼스를 좀 더 발전시켜 나간다면 무용이나 음악의 경계를 다른 시각으로 모호하게 만드는 무언가의 실마리를 알게 된 것 같고,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낸다면 조금 더 애매한 무언가를 만들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_진상태 / 음악

18_박주원, 류한길, 진상태

video


solo performance by Joo Won Park (laptop, etc)


trio by Joo Won Park (laptop, etc), Jin Sangtae (acoustic carhorn) and Ryu Hankil (motors, laptop)

 

p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