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용 Taeyong Kim

Taeyong_Kim

김태용, 작가 // 단편집 ‘풀밭위의 돼지'(2007), ‘포주이야기'(2012)와 장편소설 ‘숨김없이 남김없이(2010)를 출간했다. 또한 자끄 드뉘망이라는이름으로 시집 ‘뿔바지'(2012), 줄리 한신 이라는 이름으로 사운드북 ‘음악 이전의 책’을 출간했다. A.Typist의 맴버로 활동중이다. 최근에는 단어들과 소리의 무용의 충돌을 꿈꾸고 있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 재직중이다.

Taeyong KIM, writer. He has published two books of short stories, ‘Pig on the Grass’ (2007) and ‘Pimp Story’ (2012), and one novel, ‘Straight Out’ (2010). He has published poetry, Le Pantalon à cornes (2012), under the name Jacques Denuitmain and soundbook, ‘The book before music'(2013), under the name Julie Hanssin. He works in a member of A.Typist. Recently he has been dreaming of useless collisions of words and sound. He works in the departmnt of creative writing at the seoul institude of the arts.

올라프 호르헤츠 Olaf Hochherz

olaf_hochherz_2048

올라프 호르헤츠는 사운드 아티스트로 직접 개발한 전자악기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베를린에서 설치작품 작업 및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소리가 지니는 불안정성의 연결과 결합되는 소리의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여러 페스티벌과 중부 유럽, 서아시아, 중국 등에서 공연 및 설치작품 작업을 선보였다. “나는 전통적인 악기처럼 작동하는 전자 장비를 만들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신호의 추상성을 다룬다. 나의 연주는 기술적인 측면을 컨트롤하는 것이 아니라 소리와 연결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소리는 그 자체로서 생명이 있어 나의 연주는 소리가 살아있도록 하는 것이다.”
http://hochherz.klingt.org

Olaf Hochherz lived in Berlin. He is a sound artist mostly performing with self build electronic instruments and computer programs. Develop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 installations. He is interested in the conjunction of the instability and associative capacity of sounds. He presented his electronic compositions at different Festivals. He toured with his performances throughout Central Europe and East Asia. “I didn’t try to make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controllable in the same way as a classical acoustic instrument, instead I work with the abstraction of the electronics. In my playing I do not control a technical apparatus, but create an associative field. The sounds have their own live. The playing tries to keep them alive.“
http://hochherz.klingt.org

이옥경 Okkyung Lee

okkyung_photo_by_c_spencer_yeh
photo by C Spencer Yeh

이옥경은 현대음악계에서 즉흥연주 및 작곡분야에서 자신만의 색을 갖고 있는 첼로 연주자로 현재 미국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은 이후 확장된 연주방법으로 재즈, 노이즈, 한국전통음악, 팝음악 등을 흡수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을 만들고 있다. laurie anderson, lotte anker, derek bailey, john butcher, carla bozulich, nels cline, chris corsano, fred frith, carlos giffoni, vijay iyer, lindha kallerdahl, andrew lampert, min xiao-fen, thurston moore, ikue mori, lawrence D. “butch” morris, jim o’rourke, evan parker, marina rosenfeld, keith rowe, wadada leo smith, c spencer yeh, john zorn 등의 음악가들과 함께 연주하였다. 솔로 음반으로는 Tzadik에서 나온 Nihm과 Ecstatic Peace!에서의 I saw the Ghost of an Unknown Soul and it Said…이 있고 christian marclay와의 듀오 음반, steve beresford 과 peter evans와의 트리오 음반 등이 있다. 현재 Tzadik에서의 솔로 음반과 evan parker, peter evans와의 트리오 음반 그리고 Dancing Wayang을 위한 음반을 phil minton과 함께 준비하고 있다. http://www.okkyunglee.com

나는 상당히 한국적기준으로 “정규적”인 음악교육을 받고 자랐다. 4살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시작했고, 7살때 첼로로 악기를 바꿨고, 서울예원, 예고를 다니면서 남들이 다하는대로 하고 자랐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당연하게 첼로하기를 상당히 싫어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 주위 친구들중에 음악하는걸 진짜 사랑했던 친구들은 별로 없었다. 상당히 재능있고 잘하는 친구들은 꽤 많았지만 거의다 음악배우는거에대해 지겨워 했던것 같다. 그래서 지원했던 대학교에 불합격했었을때 난 너무 기뻤고 나는 더이상 첼로는 안할거라고 마음먹었었다. 클래식음악에 지긋지긋했던 나는 무언가 새로운걸 공부하겠다고 생각하고 유학을 가기로 결정했다. 아, 진짜 너무나 막연했던 나. 막상 Berklee College of Music을 시작하고 나자 그 무언가 “새로운” 음악이 너무나 광범휘한걸 깨달았고 내가 그때까지 알았던 음악은 너무나도 좁은 정의안에 존재한다는걸 느꼈다. 그상황에서 내가 할수있는거라고는 무조건 다 받아들이고 건질수있는대로 많은 지식들을 흡수하려고 하는것이었다. 또한 이수과정을 위해 나는 내가 유일하게 연주할수있는 악기였던 첼로를 계속해야했다. 맨처음엔 조금만 하다가 관둘거라고 생각했었지만 이번엔 무언가가 아주 달랐다. 더이상 내가 느끼고 들어서 하는연주에 대해 “틀렸다”고 하는 사람이 없었다. 한국에서 받았던 교육과 너무나 달랐고 숨통이 트이는것 같았다. 그후로부터 첼로하는것이 싫지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첼로가 내인생에 그렇게 큰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던중 버클리에서 마지막해 나는 연습을 하다가 계속 딴짓을 하기시작했다. 처음엔 그냥 쓸떼없는것을 한다고 생각했지만 계속 그안에서 나만의 무언가를 느꼈다. 더이상 이게 맞는지 틀린지를 떠나 그것이 “나의 진실한 음악”이라고 느꼈다. 내가 그때 친했던 교수님한테 이 얘길를 했을때 그는 내가 “즉흥(improvisation)”을 하고있는거라고 했다. 그때까지 재즈에서만 즉흥을 한다고 생각했었던 나는 이해를 못했었다. 하지만 그렇게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했던 “즉흥”,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자유 즉흥(free improvisation)”을 이제 나는 내모든걸 걸고 10년이 넘게 하고 있다. 아마도 3살때부터 시작한 음악생활에서 이것만큼 내자신을 음악을 통해 이렇게 솔직하게 느껴본적이 없었기때문일것이다. 그것이 음악을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아닐까? (이옥경 – 작가노트 / 문지문화원 사이 웹사이트 발췌)

A native of Korea, Okkyung Lee has been developing her own voice in a contemporary cello performance, improvisation and composition for more than a decade. Without being bound to any specific genre or style, her unique blend of music is drawn out of classical, jazz, sounds, Korean traditional and pop music, noise with extended techniques.Based in New York since 2000, Okkyung has released several albums both in the States and Europe: two album as a leader, “Nihm” and “Noisy Love Songs (for George Dyer)”, both on Tzadik; duo album “Anicca” with legendary English vocalist Phil Minton for Dancing Wayang; “The Bleeding Edge” with saxophonist Evan Parker and trumpeter Peter Evans on Psi; solo cello album “I Saw The Ghost Of An Unknown Soul And It Said…” on Ecstatic Peace!; duo recording with turntablist Christian Marclay, “Rubbings” on My Cat Is An Alien (LP)/A Silnet Place (CD).In addition to giving solo concerts and collaborative concerts, currently she is involved with many exciting groups, most notably with Vijay Iyer and Mike Ladd’s politically charged “Holding it Down”, trumpeter Wadada Leo Smith’s “Organic”, “6ix”, a collective large ensemble with Urs Leimgruber, Jacques Demierre, Dorothea Schürch, Thomas Lehn and Roger Turner, and a collective trio with trumpeter Axel Dörner and pianist Achim Kaufmann. Also she has worked with many visual artists and choreographers developing multi-disciplinary performances that were presented at Dance Theater Workshop, Issue Project Room and The Kitchen.Her versatility as a cellist has led Okkyung to work with numerous artists from many different facets of music such as Laurie Anderson, David Berhman, John Butcher, Nels Cline, Chris Corsano, John Edwards, Fred Frith, Carlos Giffoni, John Hollenbeck, Paul Lytton, Thurston Moore, Ikue Mori, Lawrence D. “Butch” Morris, Marina Rosenfeld, Jim o’Rourke, Tyshawn Sorey, Craig Taborn, John Tilbury, C Spencer Yeh and John Zorn to name a few.She has received a composer commission from New York State Council On The Arts in 2007 and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s Grant in 2010.Okkyung holds dual bachelor’s degrees in Film Scoring/Contemporary Writing & Production from Berklee College Of Music, and master’s degree in Contemporary Improvisation from New England Conservatory Of Music. http://www.okkyunglee.com

박케빈 Kevin Parks

NewImage

뉴욕 출신인 Kevin Parks는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음악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활동적인 작곡가이자 즉흥 연주자이다. Brooklyn College Conservatory of Music를 졸업했으며, 이후에 Dartmouth College에서 예술석사학위(M.A.)를 받았다. New York의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n Troy에서 잠시 일을 한 후에, 서울예술대학에서 컴퓨터음악을 가르친 바 있으며, 현재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 학위 과정을 밟고 있다. 그는 Charles Dodge와 Curtis Bahn, Noah Creshevsky, Larry Polansky, Jon Appleton, Christian Wolff, Judith Shatin, Ted Coffey 및 Matthew Burtner와 함께 작곡을 공부했다.

Originally from New York, Kevin Parks is an active composer and improviser currently teaching a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chool of Music. A graduate of Brooklyn College Conservatory of Music, Kevin later received his M.A. from Dartmouth College. After working briefly at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n Troy, NY, Kevin taught computer music at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in com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Kevin has studied composition with Charles Dodge, Curtis Bahn, Noah Creshevsky, Larry Polansky, Jon Appleton, Christian Wolff, Judith Shatin, Ted Coffey, and Matthew Burtner.

홍철기 Hong Chulki

IMG 0158

홍철기는 즉흥음악 연주자이자 노이즈 음악가로 1976년 서울 출생. (카트리지를 제외한) 턴테이블, 믹서 피드백, 노트북 등과함께 다른 전기-전자장치들을 악기로 사용하며, 주요 프로젝트로는 한국 최초의 노이즈 음악 그룹인 astronoise(1997년최준용과 결성)가 있다. 90년대 중 후반에는 인디 음악을 배경으로 활동하였으나 2003년경부터는 관습적인 방식의 음악만들기와 소리 듣기로부터 결별하면서 CD 플레이어나 MD 녹음기, 턴테이블과 같은 일상의 녹음/재생장치를 악기로 활용하는자유즉흥의 영역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는 실제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전기-전자적 소음을 산출하는 대상들을 이용한집단적인 비-관습적 즉흥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발전시키는데 전념하고 있다. 사토 유키에 등이 조직한 국내 최초의 프리뮤직콘서트 시리즈인 ‘불가사리’에 참여하였고, 이후에는 류한길이 이끈 자유즉흥음악 연주회인 RELAY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 http://hongchulki.com

Hong Chulki was born in 1976, Seoul, South Korea. He is animprovised/noise musician. His selection of instruments includesturntables (without cartridge), mixing board feedback, laptop, andother electronics. One of his central projects is astronoise (thefirst noise act of South Korea in 1997) with Choi Joonyong. Afterseveral years of playing guitar in a few indie rock bands and spendingtime for military service around 2003, he began to deviate from themore conventional way of making/listening music and to explore thearea of free improvisation with everyday record/playback devices suchas CD players, MD recorders and turntables. Since then he hasdeveloped his interest in collective non-idiomatic improvisation withacoustic/electronic noise objects. He participated initially inBulgasari, the first monthly free music concert series in Seoulorganized by Sato Yukie and later co-founded RELAY, the freeimprovisation meeting directed by Ryu Hankilhttp://hongchulki.com

알렉산더 시그먼 Alexander Sigman

alex_sigman

알렉산더 시그먼의 연주, 필름, 설치작품, 멀티미디어 작업들은 유럽, 아시아, 미국의 여러 주요 국제 페스티벌과 전시회, 기관 등에서 선보여지며 수상을 하였다. 2008년부터 Search Journal for New Music and Culture의 공동 편집자로 일하고 있고, 네덜란드의 현대 음악 앙상블인 Ensemble Modelo62의 감독을 맡고 있다. 2010년에 스탠포드 대학에서 작곡에 대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그전에는 Rice University에서 음악과 인지과학에 대한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비엔나의 University for Music and the Performing Arts와 네덜란드 헤이그의 The Institute for Sonology of the Royal Conservatory에서 학업을 계속하였다. 현재 그는 대구의 계명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http://www.lxsigman.com

Alexander Sigman’s award-winning instrumental, electroacoustic, film, multimedia, and installation works have been featured on major international festivals, exhibitions, institutions, and venues across Europe, Asia, and the US. Since 2008, Sigman has been Co-Editor of the Search Journal for New Music and Culture and Managing Director of Ensemble Modelo62, an 11-member Dutch contemporary music ensemble. Sigman completed his doctorate in Music Composition at Stanford University in 2010. Prior to Stanford, he obtained a BM in Music and a BA in Cognitive Sciences from Rice University. Further postgraduate studies were undertaken at the University for Music and the Performing Arts Vienna, as well as The Institute for Sonology of the Royal Conservatory in The Hague (Netherlands). He is currently Assistant Professor of Composition at Keimyung University in Daegu, South Korea. More information may be found here: http://www.lxsigman.com

마티야 쉘렌더 Matija Schellander

matija

마티야 쉘랜더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즉흥음악가로서 더블 베이스, 모듈러 신디사이저, 인풋 스피커, 공기 등을 주로 연주한다. 그의 음악은 개념적이지만 음악에 내재되어 있는 비이성적이고 감각적인 소통 가능성을 놓치지 않는 음악을 만들고 있다. 2003년에 Angelica Castello, Thomas Grill, Maja Osojnik와 결성한 Low Frequency Group를 통해 Wolfgang Mitterer와  Anja Utler와 함꼐 작업하였다. 2008년에는 Maja Osojnik와 Rdeča Raketa를 시작하여 독특한 테이프와 음반을 선보하였다. 2012년에 디스토피아 문학과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7개의 일렉트로 어쿠스틱 곡을 모은 첫 번째 솔로 음반인 “sum šum” 을 한국의The Manual에서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Noid, Enrico Malatesta, Attila Faravelli최준용과의 연주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베를린에서 머무는 동안에 공간, 움직임, 빛과 소리를 다루는 더블베이스 솔로 퍼포먼스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2013년에 Filmarchiv Austria로부터 의뢰 받은 Dreyer의  Passion of Joan of Arc를 위한 더블베이스 솔로곡을 작곡하였다.
http://matija.klingt.org/

Matija Schellander is an Austrian composer and improvising musician based in Vienna, mostly using double bass, modular synthesizer, and speakers: processing input, moving air output. Schellander’s music is conceptual, but it never dismisses the non-rational, sensual communicational possibility intrinsic in music. He has co-founded the ensemble Low Frequency Orchestra (with Angelica Castello, Thomas Grill, Maja Osojnik) in 2003. They have produced many projects, including a CD with Wolfgang Mitterer and sound/text piece with author Anja Utler. Schellander regularly works with Maja Osojnik in their electroacoustic duo Rdeča Raketa founded in 2008. In 2012 Schellander released his first solo CD “sum šum” with 7 electroacoustic compositions that have been inspired by dystopic literature and movies on the label The Manual (Seoul, South Korea). In recent years he has also focused on improvised music in duos with cellist Noid, percussionist Enrico Malatesta, sound artists Attila Faravelli and Choi Joonyong.  He has also developed a double bass solo music/performance project that incorporates space, movement, light and sound during his stay in Berlin in 2011/12. In 2013 Schellander composed music for double bass solo for Dreyer´s Passion of Joan of Arc, commisioned by the Filmarchiv Austria in 2013.  
http://matija.klingt.org/

제이슨 칸 Jason Kahn

jason_kahn_lo_res

제이슨 칸은 음악가, 미술가, 작가로 활동하며 1960년에 뉴욕에서 태어나 로스엔젤레스에서 자라왔다. 1990년에 유럽으로 거처를 옮겨 1999년까지 베를린에서 살다가 현재는 스위스 취리히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여러 나라의 박물관, 갤러리, 공공장소 등에서 설치작품을 전시하였다. 그의 작품은 공간에 대한 생각과 개념, 물리적인 연결점, 그것의 제작과 해체, 그리고 정치, 사회, 환경의 매개로서의 우리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전자 음악가이자 드러머로서 그는 많은 음악가들과 즉흥연주나 그가 특정한 그룹을 위해 작곡한 그래픽 악보를 갖고 함께 작업 하였다. 또한 라디오, 필름, 무용, 연극을 위한 곡을 만들기도 하며, 여러 음반 커버를 디자인하였고, 작가로서도 책이나 잡지, 음반의 라이너 노트 등을 통해 그의 글이 실렸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는 Cut이라는 레이블을 운영하여 본인과 여러 음악가들의 음악을 담은 CD를 25장 발표하였다. 2011년에는 자신의 음악과 글을 출판하는 Editions를 시작하였다. http://jasonkahn.net

Jason Kahn is a musician, artist and writer. He was born in New York in 1960 and grew up in Los Angeles. He moved to Europe in 1990, first living in Berlin until 1999, then moving to Switzerland. He is currently based in Zürich. Kahn exhibits his installations in museums, galleries, art spaces and public sites internationally. These works focus on the idea of space: the conceptual and physical juncture points, its production and dissolution, and our relation to it as a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medium. As an electronic musician and drummer Kahn collaborates regularly with many musicians, both in improvised settings and in the context of graphical scores which he composes for specific groups. Kahn’s other activities include sound pieces for radio, film, dance and theater. He has also designed numerous CD, LP and cassette covers. As a writer, his work has appeared in books, magazines and as liner notes to many audio publications. From 1998 until 2008 Kahn ran the label Cut, releasing twenty-five CD’s which included both his own work and that of many other artists. In 2011 Kahn started the Editions imprint to publish his own recordings and writings. http://jasonkahn.net

이행준 Lee Hangjun

lee_hangjun

서울국제실험영화제EXiS 프로그래머(2009~현재), 영상작가. 멀티 프로젝션과 옵티컬 사운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Martin Tetreault, 프랑스 Jerome Noetinger, 홍콩 Dickson Dee, 대만 Sandra Tavali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 즉흥협연을 해왔다. South Bank Centre(UK), Cafe OTO(UK), BOZAR(Belgium), Netmage10(Italy), Espace Multimedia Gantner(France) 등에서 작품발표를 했다. LIFT(Toronto), Nowhere(London), MTK(Grenoble) 등의 작가입주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상영기반의 작품은 프랑스 Lightcone에서 배급 중이다. http://hangjunlee.com

EXiS festival programmer, filmmaker. Based on 16mm optical sound & multiprojection, He attended production residency at LIFT(Toronto), Nowhere(London), MTK(Grenoble). Screening based works distibuted by Lightcone in Paris. http://hangjunl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