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올림 연주회_157 노디 / 임용주 / 백종현 (aka avantseed) / Human Infrastructure

2022년 12월 9일 금요일
입장료 : 연간회원 무료 / 예매 1.5만원 / 현매 2만원

일시

2022년 12월 9일 금요일 오후 8시

장소
공간 ‘닻올림’

입장료


2008년 출발한 공간 ‘닻올림’은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다양한 영역에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분들과 연주회를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고, 그 밖에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을 진행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연주회에는 노디 Noddy Woo, 임용주 Yongju Lim, 백종현 Jonghyun Baek (aka avantseed), 그리고 장정우, 왕지은씨의 듀오인 Human Infracstructure  의 무대로 꾸며집니다.


연주자 소개

노디 Noddy Woo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 겸 프로듀서로 활동해온 노디 Noddy Woo 는 다양한 스튜디오 작업을 하며 ‘소리’에 대한 근원적 고민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방식의 전자악기와 사운드합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현재는 전자음악을 매개로한 음악 작업을 하고 있다. 제한적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사운드의 변화와 유지 사이에 균형을 맞추며 반응하는 것을 좋아하며 실시간으로 변조되는 여러 소스를 활용한 그녀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실험음악과 전자음악을 기반으로 다양성을 추구하는 공연시리즈 ‘모듈라서울 modularseoul’의 기획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운드 작업과 함께 여러 전시와 무대에서 라이브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임용주 Yongju Lim

농악과 사물놀이를 공부한 임용주는 전통 장단의 구조와 균형미를 토대로 사운드 메이킹 및 음악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월드뮤직 그룹 공명 http://www.gongmyoung.co.kr의 멤버로서 새로운 악기제작을 통한 창작음악활동을 하고 있다. 개인작품으로는 ‘무장단’, ‘붕괴(with 노디 Noddy Woo)’, ‘울릴 굉轟’ 등이 있다.

 

백종현 Jonghyun Baek (aka avantseed)

영성을 구현하는 제의ritual로서, 그리고 신비에 귀의하는 헌신으로서 연주한다. 연주의 목적은 피상, 모방, 물질, 맹종, 거짓을 저주하고 본질, 창조, 생명, 반항, 진실을 간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무언가가 벽을 건너서 올 것이다>를, 2022년에 <최초의 마지막 새벽>을 발표하였다. 

 

휴먼 인프라스트럭처 Human Infrasturcture

Human Infrastucture 는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장정우와 왕지은의 시청각 노이즈 프로젝트다.

Human Infrastucture 는 사이버네틱 음악의 기법들을 확장하여 피드백 기반의 잡음-시스템을 고안하고 연주하며, 이를 통해 인프라와 그것을 이루는 무수한 신체들의 관계를 탐구한다.

최근에는 모듈러 신디사이저와 16mm 필름 프로젝션, 그리고 아날로그 비디오를 결합한 시스템을 실험하고 있다.


문의

주의 사항

  • 예매 / 예매취소후 환불은 공연 하루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 예매로 티켓이 모두 판매되면 당일 현매는 없습니다. (홈페이지 및 SNS 공지)
  • 공연 관람시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 부탁드립니다.
  • 공연이 시작되면 공연 중에는 입장하실 수 없으며. 공연과 공연 사이에 입장 가능합니다.
  • 코로나19의 상황 악화로 공연이 취소될 경우, 입장료를 환불해 드립니다.
  • 닻올림 주소 : 마포구 상수동 와우산로 29 건물 지하 B1
  • 참조링크 :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Refunds after booking/cancellation are only available one day before the performance.
  • If all tickets are sold in advance, there will be no on-the-spot sale on the day. (Check the website or Social Network notice)
  • Please wear a mask in the venue during the performance.
  • Once the performance begins, you cannot enter during the performance.
  • Admission is permitted between performances.
  • address : Basement 1, Wausan-Ro 29, Mapo-Gu, Seoul,

약도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1층에 꽃집과 ‘서울진’ 음식점 , ‘플로러스 카페’ 가 있는 건물입니다.

닻올림 연주회_156 Tim Feeney / 이상빈 + Eliot Burk / 주정현 + Matt LeVeque + M A Harms

2022년 11월 25일 금요일 오후 8시 연간회원 1만원 / 예매 1.5만원 / 현매 2만원

일시

2022년 11월 25일 금요일 오후 8시

장소
공간 ‘닻올림’

후원
서울문화재단, 문화로드맵, 서울시

입장료


2008년 출발한 공간 ‘닻올림’은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다양한 영역에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분들과 연주회를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고, 그 밖에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을 진행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연주회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오는 Tim Feeney 팀 피니,  Eliot Burk 엘리엇 버크, 주정현 Jeonghyeon Joo, Matt LeVeque 맷 레베크, M A Harms 엠 에이 함스이상빈 Patrick Sangbin Rhie – 총 6명의 음악가가 함께 하는 무대로 꾸며집니다.


연주자 소개

Tim Feeney 팀 피니

Tim Feeney 팀 피니는 불안정한 소리와 시간에 관심을 가지고 공연과 작곡, 즉흥연주를 하며, 숲과 곡물 창고에 감각적인 환경을 만들기도 한다. ‘Meridian 메리디안’ 이라는 이름으로  Sarah Hennies 사라 헤니스, Greg Stuart 그렉 스튜어트와 함께 서점과 지하실에서, Vic Rawlings 빅 롤링, Annie Lewandowski 애니 르반도프스키와 함께 미술관과 도서관에서, ‘Tasting Menu 테이스팅 메뉴’라는 이름으로 Cody Putman 코디 푸트만, Cassia Streb 카시아 스트랩 과 함께 터널과 기차역에서, Holland Hopson 홀란드 홉슨과 Jane Cassidy 제인 캐시디 와 함께 대학교와 박물관에서, 그리고 때때로 Anthony Braxton 앤서니 브랙스턴, Ingrid Laubrock 잉그리드 라브록과 함께 페스티벌과 공연장에서 그를 찾아볼 수 있다. 현재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CalArts 칼아츠 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https://www.timfeeney.com/

 

이상빈 Sangbin Patrick Rhie

이상빈 Sangbin Patrick Rhie 은 주로 “작곡”을 하며, 또한 컴퓨터음악이론 연구를 하거나 논문을 쓴다. 작곡을 할 때에는 직설화법을 즐겨 쓰며, 사회적 이슈에서부터 내밀한 생각들과 감각들에 이르는 다양한 관심사를 약간의 자조적 유머를 섞어 풀어내려 노력하고 있는 사람이다. 음악적 재료 면에서는 사전 녹음된 사운드를 이용한 DSP에 관심이 많으며, 기성 이펙터의 원리를 응용하는 사운드 작업과 인용음악에 관심이 많다. 또한, 음악은 꽤 사회적인 활동이자 이벤트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들리는 것들을 통해 나타나는 음악가와 청취자의 상호작용을 매우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 악기 연주에 재능이 없어서 평소에 연주를 자주 하지는 않으나, 간단한 컨트롤러들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사운드들이나 전기 기타를 이용한 단편적인 소리 생산 작업은 조금씩 선보이고 있다.  https://patrickrhie.weebly.com/about.html

 

Eliot Burk 앨리엇 버크

저는 사회적으로 재생산되는 우리의 일상을 방해하기 위해 음악과 이벤트를 연주하고 작곡합니다. 저는 자본에 의해 제약을 받는 문명화된 상호작용을 견딜 수 없습니다. 저의 실험적인 사회적 행위와 실천은 노골적으로 유토피아적이며, 그래서 종종 표현의 실패와 의사소통의 부재 상태를 초래합니다. 저는 제 삶의 대부분을 캘리포니아의 다양한 상황과 구조 속에서 살았습니다(1989~). 이 소개글은 야망에 가득차 있습니다. 진심을 담아, Eliot Burk 앨리엇 버크. eliotburk.github.io

 

주정현 Jeonghyeon Joo

주정현 Jeonghyeon Joo 은 로스엔젤레스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해금연주가이자 작곡가이다. 해금을 연주하며 가지게 된 질문을 비전통적인 음색과 형식으로 풀어내며, 악기를 연주하는 신체적 행위, 특히 현악기를 연주할 때 활을 긋는 행위 그리고 그 이면의 과정과 소리, 미학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동시대 작곡가, 연주가, 안무가, 독립영화감독, 시각예술가와 협업하며, 즉흥연주, 퍼포먼스 아트, 오디오비주얼 등의 형태로 작업물을 선보인다.  https://www.joowork.com

 

M A Harms 엠 에이 함스

M A Harms 엠 에이 함스는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곡가, 연주자, 악기 제작자로, 텍스트와 사운드의 조합을 통해 비통, 젠더, 성 사이의 교차점을 탐구한다. 그(들)의 작업에서 사운드와 비주얼은 동등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따라서 주로 퍼포먼스 아트의 형태로 작업을 한다. M A Harms 엠 에이 함스는 사실적인 이야기와 개인적인 삶의 사건들을 사운드적인 접근으로 탐색하며, 개인적 경험과 보편적 경험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그 지점에서 두 경험의 사이를 모호하게 만든다.  https://www.instagram.com/phenomenologopolis/

 

Matt LeVeque 맷 레베크

Matt LeVeque 맷 레베크 (he/his, 1996-)는 로스엔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타악기 연주가, 작곡가, 즉흥음악가이다. 그는 독주곡과 실내악곡을 연주하고, 동시대 젊은 작곡가들과 협업하며, 기교, 가독성, 그리고 시간성에 대한 규범적인 개념에 도전하는 새로운 작품을 창작한다. 그의 작업은 퀴어/젠더 이론과 시간 속에서의 사운드 메이킹의 교차지점에 존재하며, 관계성과 친밀감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는 ++와 Castle Anthrax 캐슬 앤스랙스 의일원으로 로스엔젤레스의 즉흥음악 씬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matt.leveque/

 

연주회 구성

  • 솔로: Tim Feeney 팀 피니
  • 듀오: 이상빈 Patrick Sangbin Rhie + Ellot Burk 엘리엇 버크
  • 트리오: 주정현 Jeonghyeon Joo + Matt LeVeque 멧 레베크 + M A Harms 엠 에이 함스

 

공연장 입장 관련 안내

  1. 예매로 티켓이 모두 판매되면 당일 현매는 없습니다. (홈페이지 및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 공지)
  2. 공연 관람시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하셔야 합니다.
  3. 공연중에는 공연장으로 출입할 수 없습니다.

문의

주의 사항

  • 예매 환불은 공연 하루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 닻올림 주소 : 마포구 상수동 와우산로 29 건물 지하 B1
  • 참조링크 :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건물에서 올라오실 때 복도를 통한 소음이 많이 발생되오니 건물 안으로 들어오시면 말씀을 자제해주시고 발을 디딜 때도 소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address : B1 Wausan-Ro 29, Mapo-Gu, Seoul,

약도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1층에 꽃집과 ‘서울진’ 음식점 , ‘플로러스 카페’ 가 있는 건물입니다.


* 2022년 마포구 예술거점 활성화 사업 문화로드맵 <예술로 업: 業 CYCLE>에 선정된 사업입니다.

닻올림 연주회_155 중간자 Joongganja

2022년 11월 18일 금요일 오후 8시 연간회원 1만원 / 예매 1.5만원 / 현매 2만원

일시

2022년 11월 18일 금요일 오후 8시

장소
공간 ‘닻올림’

후원
서울문화재단, 문화로드맵, 서울시

입장료


2008년 출발한 공간 ‘닻올림’은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다양한 영역에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분들과 연주회를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고, 그 밖에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을 진행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연주회에는 김인경, 진상태로 구성된 듀오 중간자 Joongganja 의 단독 무대로 꾸며집니다.


연주자 소개

중간자 Joongganja

‘중간자’는 시각예술가 김인경과 음악가 진상태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듀오다. 김인경은 슬라이드 프로젝터로 재구성한 파편화된 사진 영상을, 진상태는 해체된 하드디스크로 음악을 만든다. 두 사람의 퍼포먼스는 서로에게 영향을, 때로는 서로의 영역에 구애 받지 않으며 겹쳐지며 관객에게 개별적, 복합적인 공간과 시간의 재구성을 퍼포먼스로 시도한다. 중간자는 <텅빈곳 프로젝트>(2019), <소리가 손이 되어>(2020), <시에르핀스키의 삼각형>(2021)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공연장 입장 관련 안내

2022년 4월 현재, 정부의 코로나19 (오미크론) 관련 방역 정책을 준수, 예매 및 입장 절차를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확인하셔서 입장 및 관람 부탁드립니다.

  1. 예매로 티켓이 모두 판매되면 당일 현매는 없습니다. (홈페이지 및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 공지)
  2. 공연 관람시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하셔야 합니다.
  3. 코로나19의 상황 악화로 공연이 취소될 경우, 별도 공지와 함께 입장료를 환불해 드립니다.
  4. 위의 안내사항 1~3은 정부 방역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문의

주의 사항

  • 예매 / 예매취소후 환불은 공연 하루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 닻올림 주소 : 마포구 상수동 와우산로 29 건물 지하 B1
  • 참조링크 :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건물에서 올라오실 때 복도를 통한 소음이 많이 발생되오니 건물 안으로 들어오시면 말씀을 자제해주시고 발을 디딜 때도 소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address : B1 Wausan-Ro 29, Mapo-Gu, Seoul,

약도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Google Maps

* 1층에 꽃집과 ‘서울진’ 음식점 , ‘플로러스 카페’ 가 있는 건물입니다.


* 2022년 마포구 예술거점 활성화 사업 문화로드맵 <예술로 업: 業 CYCLE>에 선정된 사업입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