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올림 정기연주회_06 케빈 팍스 Kevin PARKS

 

2009년 새해를 맞아 처음으로 열리는 공간 ‘닻올림’의 여섯번째 정기연주회가 2009년 1월 10일 토요일 오후 7시에 열립니다.

2008년 2월 시작한 공간 ‘닻올림’은 오피스텔을 개조한 20석 규모의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즉흥음악을 중심으로 정기연주회 및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를 진행하는 작은 공간입니다.

닻올림 정기연주회는 즉흥음악 연주자를 초대해 연주자에 포커스를 맞춘 스페셜 무대로 구성됩니다. 연주자가 직접 초대한 게스트와 함께 집중되고 밀도있는 연주를 들려줄 예정입니다.

다섯번째 정기연주회의 주인공 케빈 팍스 Kevin PARKS 입니다.

image 케빈 팍스 (Kevin PARKS / electronics, guitars, gizmo)

뉴욕 출생, 현재는 버지니아 샤를롯츠빌에서 작곡가와 즉흥음악가로 활동중. HzCollective와 즉흥음악 트리오인 Pinkos의 멤버로서 활동중이다. 서울에서 생활하기도 했던 그는 서울예술대학에서 일했었고 ‘사다리움직임연구소’와 같이 협연하기도 하였다. 올해 6월 다시 서울로 돌아올 예정이며, 그의 최근 레코딩으로는 조 포스터(Joe Foster)와의 듀오 앨범 [ipsi sibi somnia fingunt]가 있다. website http://web.mac.com/kp8 / myspace http://www.myspace.com/inharmonix

출연진

  • 케빈 팍스 Kevin PARKS (electronics, guitars, gizmo)
  • Guest : 조 포스터 Joe FOSTER (electronics, trumpet), 진상태 JIN Sangtae (Hard disk drives)

문의 02-707-3118 / info@dotolim.com

홈페이지 https://www.dotolim.com

———————————————————————————————————————————————–

자율 기부 제도

닻올림은 여러분의 자율 기부 제도로 운영됩니다. 공연이나 작품을 감상하신 후에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는 금액을 자유롭게 기부하시면 됩니다. 입장 수익은 해외 아티스트 초청 비용 및 아티스트 연주비로 사용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좌석 예약 안내

사전에 좌석 예약을 원하시는 분들은 info@dotolim.com로 이름과 휴대전화번호를 적어서 예약 의사를 알려주십시오. 확인후 예약에 대한 자세한 안내장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약도

05_사토 유키에 SATO Yukie

CRW_6518 이번 닻올림 정기연주회의 특징은 처음의 금요일 밤인 것, 그리고 PA시스템을 일체 사용하지 않은 공연이었던 것이다. 저는 작은 기타 앰프를 준비해 왔다. 게스트인 최준용은 깨진 테이프 리코더의 생 소리 노이즈. 그래서 평소 여기에서 쓰는 믹서 등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그런데 닻올림 장소는 지극히 보통 오피스텔의 일실이므로, 의식적으로도 무의식적으로도, 음량에는 처음부터 상당히 배려했다.

최초 세트는 저의 솔로다. 테이블 기타로 화려한 연주에 시종했다. 솔로에서는 “동(動)”을 의식하고, 그래, 평소대로 즐거운 연주를…라는 것이다.

숟가락, 젓가락, 병따개, 핸드 믹서, 잔돈, 장난감, 자전거 벨, 카세트 테이프, 긴급용 자가발전 라이트, 등등을 구사한 “엔터테인먼트” 노이즈 기타 솔로. 스피디로 전개. 단 음량에 주의하고 있었으므로 완전히 난리가 났다라고 형용할 수 있는 것 같은 내용은 되지 않았다. 그래도, 압제 된 열기 또는 마음속에 숨긴 광기라고 하는 것 같은, 소위 “락”적인 연주가 되었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 어쨌든 공연 후 저는 마치 곱창전골의 라이브가 끝난 것 같이 땀 투성이가 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잠시 휴식 후 제2세트는 오래간만에 준용과 함께 듀오다. 나의 기타 연주에 준용에 의한 깨진 테이프 리코더로부터의 생 잡음이 울려 퍼진다고 하는 것. 기타는 2개. Les Paul와 CASIO의 디지털 기타(일종의 장난감)을 준비하고, 아까 했던 연주와는 전혀 다른 어프로치를 행한다.

이번 세트에서는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누르고 엔터테인먼트성을 일체 배제한 “정(靜)”을 테마로 유의했다 (라고 말해도 완전히 엔터테인먼트성을 포기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준용에 의한 미세한 노이즈도 잘 들리도록 음량조절에 세심한 주의하며 높은 긴장감이 감돈다.

CRW_6541 CASIO 디지털 기타에 의한 조용한 드론(drone) 소리로부터 시작되고, 거기에 준용의 ㅂㅂ,ㄱㄱ, ㅋㅋ, ㅈㅈ, 규ㄴㄴㄴ…라는 벌거숭이 “잡음”이 기승전결도 아무 것도 없이, 단지 당돌히, 무슨 예고도 없이 겹쳐 온다.

중간 부분에서는 Les Paul로 노이즈나 현대음악풍 불협화음 등을 연주했지만, 준용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담담하게 테이프 리코더로부터 잡음을 발생시킨다. 이 장면에서는 “연주”과 “비(非)연주”의 대비라는 모양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봐 있는 측은 특히 그랬다고 생각된다).
듀오는 다시 드론(drone) 소리에 되돌아가서 종료했지만, 이렇게 조용한 연주는 정말로 오래간만이었다. 그리고 예상했던 대로 역시 너무 재미있었다.

조용히 침착해져서 집중할 수 있는, 이러한 연주를 할 수 있는 곳이, 여기, 닻올림의 장점일 것이다. 기회가 있으면 다음에는 솔로로 작은 음량으로 조용한 연주를 해 보고 싶다.

by 사토 유키에 (http://www.satoyukie.com)

 

관련자료 (relate link)

비디오 및 사진 video & pics
공연안내 information

05_사토 유키에 SATO Yukie

Video 

Sato Yukie (guitar, electronics, etc)

Sato Yukie (guitar), Choi Joonyong (reeltape recorder)

Picture

CRW_6507 CRW_6510
CRW_6515 CRW_6518
CRW_6533 CRW_6531 
CRW_6535 CRW_6545
CRW_6549 CRW_6553
CRW_6557 CRW_6562
CRW_6560 CRW_6563

사토 유키에 SATO Yukie : guitar, electronics, etc.

최준용 CHOI Joonyong : reeltape recorder with cymbal.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