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닻올림’의 즉흥 음악 정기연주회 후기 // 이정빈
공간 ‘닻올림’은 2008년부터 오피스텔을 개조한 20석 규모의 소형 공연장 및 녹음 스튜디오로 즉흥-실험 음악을 중심으로 정기 연주회를 하는 공간이다. 6호선 상수역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오피스텔 지상 7층에 있다.
#1
11월 1일 토요일 저녁 8시, 공간 ‘닻올림’에서 열리는 정기 연주회에 찾아갔다. 나는 공연 시작 시각보다 일찍 근처에 도착하게 되어 홍익대학교 부근에서 저녁을 먹었고, 그러고도 시간이 남아 길을 따라 공연장까지 걸어가 보기로 했다. 상수역까지 이어지는 토요일 저녁의 와우산로 거리에는 분주한 활기들이 쏟아지고 있었다.
사람이 붐비는 밤거리 위에 많은 일이 뒤섞이고 있다. 그것은 고막을 자극하는 여러 결의 소리와 관련되어있다. 거리의 소리가 마구 겹쳐져 부풀어 오른다. 내가 아스팔트에 운동화를 부딪치며 내는 경쾌한 소리는 뾰족하거나 단단한 구두 굽들이 부딪히는 소리와 합쳐졌다. 수다를 떠들며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순간 차도의 승용차가 내는 엔진 소리에 흩어지기도 한다. 노점에서 즉석에서 쇠를 갈아 귀걸이나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남자를 얼마간 바라보고 있었다. 그런데 그가 전동 줄칼을 가지고 내는 요란한 소리가 과열된 오토바이 몇 대의 소리에 뒤덮여 사라져 버렸다. 장갑과 목도리를 파는 상인들의 너스레는 스피커에서 뿜어져 나오는 최신 힙합이나 케이팝 가요와 엉겨 붙기도 했다. 각자의 소리가 저마다 뽐내며 밤거리를 긁는 중이었고, 그러다 다른 더 큰 소리에 붙어버리거나, 뒤엉키거나, 마찰하면서 생소한 굉음을 만들어냈다. 정체가 궁금하지만, 정확히 잡아낼 수 없는 그런 소리들과의 술래잡기 한 판이었다.
오피스텔의 현관 유리문에 A4 치수의 공연 포스터가 붙어있었다. 안으로 들어가 버튼을 누르고 잠깐 엘리베이터를 기다렸다. 오피스텔 안에 자리한 공연장으로 들어가는 것은 친구의 방에 놀러 갈 때처럼 기대되는 과정이었다. 어느 짝과 함께 엘리베이터에 타게 되었는데 그들은 이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사람들로 보였다. 둘은 손에 케이크 상자를 들고 들뜬 목소리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엘리베이터 안에 맥락을 알 수 없는 이야기의 파편들이 오고 갔다. 왠지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소리들이었다. 벨이 울렸고 7층에 내려 복도를 따라 걸었는데, 조용한 복도의 끝에서 어느 문에 붙은 포스터 하나가 여기가 공연장임을 작은 소리로 알리고 있었다. 암호를 해독해낸 기분이었다. 현관문을 열자 원룸을 무대와 객석으로 사용하는 공간 안에 무대와 객석이 아주 가깝게 맞붙어 있었다. 빼곡한 전선들, 장비들이 산만하게 널려 있었는데 그것들은 사실 정갈하게 정리된 묘한 모양새를 갖추고 있었다. 공연을 기다리며 앉아있는데 괜히 귀가 예민해져서 다른 관객들이 속삭이는 소리까지 모두 다 들어버리고 말았다. 연주가 시작되었다.
#2
턴테이블에서는 LP 레코드가 재생되지 않았고, 기타에서는 기타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라디오나 스피커에서도 익숙한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다만 거기서는 전기들이 부딪히며 내는 마찰음, 사물 자체들이 서로 부딪힐 때의 마찰음, 쇠를 긁는 소리, 줄을 켜는 소리가 튀어나왔다. 시끄럽고 불편한 소리거나, 집중하지 않으면 들을 수 없는 작은 소리였다. 연주자들은 사물이나 신체를 마치 악기처럼 어루만지면서 보이지 않는 것들을 조율하고 있었다. 그 소리는 점점 더 커지거나, 압도적으로 단단한 힘을 뿜어내기도 했다. 걷잡을 수 없이 강해진 소리가 내 귀와 머리통을 갈기기도 했다. 그것들은 나를 향하고 있는 게 아닌 것 같았다. 나를 넘어 공간을 가득 채웠고, 벽을 뚫고 밖으로 마구 뛰쳐나가려고 했다. 하지만 광폭한 그것들은 벽에 퉁겨져 다시 내 귀를 파고들어 왔다. 익숙하지 않은 경험이었고 답답하고 고통스러웠다. 그런데 불편하고 이상한 소리와 계속해서 부딪히면서 귀는 더욱 예민해지는 것 같았다. 소리가 잦아들자, 아주 작은 것들까지도 구체적으로 들리는 것 같았다.
눈을 감았더니 조금 진정되는 느낌이 들었고 몇 가지 장면들이 떠올랐다. 악 소리를 지르며 집 안을 뛰어다니고, 젓가락으로 프라이팬을 후벼파던, 한참 동안 라디오 스피커에 귀를 대고 있거나, 그것들을 모조리 분해해보았던 조각난 기억들을 맞추어보았다. 그런데 알지 못하는 사물과 소리에 대해 몹시 궁금할 때, 두들겨보고 내리쳐 보며 그것들이 내는 소리를 즐기던 때에는 언제나 그만두라는 명령들이 함께 해왔다. 엄마는 시끄럽다며 귀를 틀어막았고, 선생님은 더 큰 소리를 내지르며 나를 제지했다. “계속 하면 손바닥을 맞는다.” 그러면 나는 그만두곤 했다. 실수나 호기에 의해 벌어진 날 것의 소리는 주변에 방해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것들은 귀를 무디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지금 여기서는 ‘해서는 안 되는 행동들’, ‘내서는 안 되는 소리’, ‘들을 필요가 없다고 여겨지는 소리’가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다. 그만둬야 할 소리, 방해되는 소리, 괴롭히는 듯한 소리가 집요하게 귀를 자극한다. “이런 소리를 이토록 길게, 선명하게 들어본 때가 있었나?”, “내가 이렇게 소리에 집중했던 적이 있었나?” 이때 누군가 눈을 감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또 누군가는 무언가 리듬을 찾아낸 건지 스스로 리듬이 되려는 건지 발 박자를 맞추기 시작한다.
65번째 정기 연주회가 열렸던 2014년 11월 9일을 끝으로, 기존의 공간 ‘닻올림’은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닻올림’은 2015년 1월 이후에 열릴 66회 공연부터 새로운 공간에서 정기 연주회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글 // 이정빈
- 이 글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신문에 기고되었던 글로, 원작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신문측의 동의를 얻어 게재하였습니다.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