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 contact

닻올림 정기연주회_05 : 사토 유키에 SATO Yukie

공간 ‘닻올림’의 다섯번째 정기연주회가 2008년 9월 26일 금요일 오후 8시에 열립니다.

2008년 2월 시작한 공간 ‘닻올림’은 오피스텔을 개조한 20석 규모의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즉흥음악을 중심으로 정기연주회 및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를 진행하는 작은 공간입니다.

닻올림 정기연주회는 즉흥음악 연주자를 초대해 연주자에 포커스를 맞춘 스페셜 무대로 구성됩니다. 연주자가 직접 초대한 게스트와 함께 집중되고 밀도있는 연주를 들려줄 예정입니다.

다섯번째 정기연주회의 주인공은 밴드 ‘곱창전골’의 기타/보컬리스트로, 연주회 ‘불가사리’의 기획자및 즉흥음악 연주자로 활동 하고 있는 사토 유키에씨 입니다.

image

사토 유키에 佐藤行衛 (SATO Yukie)

서울 거주 일본인 음악가.

1999년 한국 최초 일본인 락 그룹 “곱창전골”로 데뷔.

그리고 전위음악/실험음악/즉흥음악가로서도 정열적으로 활동. 전기기타를 테이블 위에 누이고, 장난감, 철물, 부엌용품 등으로 여러가지 소리를 내오는 “테이블 기타”연주자.

온세계의 수많은 아방가르드 아티스트들과 연주/교류하고, 2003년 전위/실험/즉흥예술의 종합라이브 시리즈 “불가사리”을 서울에서 시작. “불가사리”은 평균 한달 1-2번 개최하고, 현재도 계속중. 국내외의 여러 쟝르에 건너는 아티스트들과의 문화교류의 장소를 제공하고 국내의 신인 아티스트들의 발굴/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출연진

  • 사토 유키에 (guitar, toy, etc)
  • Guest : 최준용

문의 02-336-3184 / info@dotolim.com

홈페이지 https://www.dotolim.com

———————————————————————————————————————————————–

자율 기부 제도

닻올림은 여러분의 자율 기부 제도로 운영됩니다. 공연이나 작품을 감상하신 후에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는 금액을 자유롭게 기부하시면 됩니다. 입장 수익은 해외 아티스트 초청 비용 및 아티스트 연주비로 사용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좌석 예약 안내

사전에 좌석 예약을 원하시는 분들은 info@dotolim.com로 이름과 휴대전화번호를 적어서 예약 의사를 알려주십시오. 확인후 예약에 대한 자세한 안내장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약도

recording : 진상태

2007년 12월 부터 레코딩을 시작해온 진상태의 솔로앨범의 녹음이 8월 15일 종결되었습니다. 이 녹음은 2008년 10월경 레이블 벌룬앤니들(balloon & needle)에서 발매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CRW_6272 CRW_6274
CRW_6275 CRW_6276
CRW_6277 CRW_6281_1
CRW_6295 CRW_6296

03_홍철기

 

CRW_5671왜 그랬었지 지금은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나는 그날 연주를 시작할 때까지도 잠이 완전히 깨질 않았다. 날씨는 좋았던 것 같다. 그리고는 내 솔로 연주를 시작했다. 연주의 밀도가 높다는 것이 반드시 연주의 성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날 내 솔로 연주는 소리와 소리, 연주와 연주 사이의 전환점들의 간격이 매우 조밀해서, 결과적으로 밀도가 높았다. 즉 매우 빠르게, 그리고 불규칙적으로 소리를 끊고 이어가면서 연주했기 때문인지 짧은 시간을 정말로 오랫동안 통과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내가 충분히 오랜 시간 동안 했다고 생각하고 연주를 마쳤을 때도 시간은 15분을 넘지 않았다. 턴테이블의 플래터 표면에 바늘을 직접 마찰시키고, 카트리지가 입력 받은 신호를 전달하는 약간의 노출된 톤암의 전선 부분을 합선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믹서 피드백과 원리상 동일한) 나는 연속적인 소리, 혹은 침묵의 구간 간의 단절과 단절 사이를 바쁘게 오가면서 연주를 했다. 내 솔로 연주는 닻올림에서의 연주 직전까지 몇 달 동안 전념한 DVD <Expanded Celluloid, Extended Phonograph>의 음향 작업(영상: 이행준) 중 발견하게 된 (그리고 실은 믹서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던 시기의 방법과 일치하는)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15분도 채 되지 않은 연주가 끝나자 나는 잠이 완전히 깼다.

CRW_5689그날 두 번째 세트는 닻올림 주인장과의 듀오 연주였다. 이때는 솔로와 달리 보다 긴 호흡을 갖고 연주에 임했다. 노이즈나 즉흥연주에서는 미리 정해놓은 방향이나 악보가 없고 심지어 그러한 악보가 불필요하기까지 하다. 물론 미리 정해진 방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협연을 하게 되는 연주자나 공간에 대한 예측이나 합주를 통해서 결정되기 보다는 첫째로는 악기(음악의 도구이자 재료, 그리고 데릭 베일리(Derek Bailey)가 말하는 것처럼 나의 “동맹(ally)”이기도 한)의 선택에서 결정되고, 악기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결정되며, 둘째로는 연주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시공간 안에서의 “듣기”라는 행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따라서 미리 결정되지 않는다. 특히 두 번째 결정의 계기는 믹서 피드백과 같은 기계 내적인 피드백(internal feedback)을 연주에 이용할 때보다는 피드백 룹에 연주 공간도 포함시키는 외적 피드백(external feedback)을 이용할 때 훨씬 중요해진다. 이날 솔로 세트에서 내 연주가 전자에 가까웠다면 듀오 세트에서는 후자에 가까웠다. 믹서의 버튼을 잘못 눌러놓는 ‘실수’도 여기서는 음향을 구성하는 연주의 하나의 계기일 뿐이다. 솔로연주가 끝나고 보다 맑은 정신상태에서 나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듀오 연주를 즐길 수 있었다.

by 홍철기 HONG Chulki

관련자료 (relate link)

비디오 및 사진 video & pics
공연안내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