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_불특정한 언어

image * 처음 이 공연을 제의 받았을 때 “아주 작은 공간에서도 무용공연을 할 수 있나요?” 하는 질문에서부터였다. 무용을 하기에 아주 작은 공간이란 말은 내게 ‘제한’ 또는 ‘한계’라는 과제를 생각나게 했고 그것이 작업에 좋은 시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진상태 선생님도 그리고 나도 작은 공간에 맞는 제한된 움직임들을 찾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막상 연습을 하다 보니 작은 공간에 작지 않은 움직임들의 매치가 더 흥미롭기 시작했다. micro한 공간에 micro하지 않은 움직임들을 매치하기. 그러면서 생각나는 것들이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작은 집과 큰 사람이었고, 또 예전에 읽은 한 건축가의 책에서 공간에 대한 폭력을 이야기 하며 작은 엘리베이터에 가득 찬 사람들, 작은 교회에 장대 같은 높은 신발을 신고서 공연하는, 공간과 조화되지 않는 내용물들에 관함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우리의 춤이 공간에 비해 그만큼의 과대한 효과는 아니었을지 몰라도 그러한 아이디어와 시도들이 재미있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다른 초점은 ‘관점’ 이었다. 공간의 모양이 일반적인 사각이 아니고 부엌을 통한 복도도 있기에 이곳 저곳 다양한 공간의 모습들을 사용하려니, 관객에게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의 공연행위를 보여주려고 비디오 프로젝트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것이 실제 공연자의 행위와 화면을 통해 비춰지는 공연자의 모습의 방향이 바뀌는 재미있는 면들이 생겨났다. 그래서 실제로는 두 공연자들이 서로 마주보고 춤추고 있는데, 영상 화면에 의해 그들이 서로 다른 면을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지는 관점의 다양성이 생겨났다. _노경애 / 컨셉, 안무

image ** 공연장도 야외도 아닌 작은 오피스텔에서의 공연은 우리 공연에 여러 다양성과 가능성을 제시 해준 것 같다.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작게 움직여야 한다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큰 움직임으로 공간을 채워 나가는 시도 또한, 일반 공연장과는 다른 공간이기에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그곳에서만 느낄 수 있는 다른 재미와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어서 좋았다. 무엇보다 여러 소품들로 소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보고 느끼고 춤 출 수 있어 즐거웠다. _이희승 / 창작, 무용

*** 이 공연은 무용수가 나와 춤을 추고 그것의 음악을 제공해 주는 형식을 띄고 있지만, 나 스스로는 무용수들의 춤사위에서 나오는 소리들을 즉흥음악의 형태로 이해하는 공연을 생각했다. 즉 이 공연의 모든 무용수가 연주자라 생각하며 협연을 했다. 이런 생각을 처음 이 ‘불특정한 언어’를 제안 받고 나서부터 생각했었지만, 첫 공연했던 장소는 넓고 울림이 심한 곳이어서 무용수들의 모든 몸짓이 소리로 드러나기엔 어려웠다. 그래서 피에조를 이용한 발판을 마련한다든지, 모두에게 무선마이크를 장착한다든지 하는 생각들을 실천해 보았으나 크게 효과적이지는 못했고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간접적으로 개입을 하게 되는 좋지 않은 상황도 발생되었었다. 그러나 작고 밀집된 공간에서는 이 모든 것이 해결되었고 이것이 닻올림의 공간성으로도 살아 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쿠스틱으로 연주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 하드디스크를 어쿠스틱으로 연주했고, 나중에 다른 연주와 연계도 가능할 것을 예상되는 양철통들과 세가지 타입의 오르골을 하드디스크와 연계해 연주했다. 요즘 들어 관심이 가는 부분이 물체의 평행과 균형이 소리로 바뀌는 image부분인데 양철통들을 쌓아서 하드디스크의 움직임과 연계했던 부분은 결론적으로 무용에서의 ‘불균형’ 부분과 연결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경험으로 퍼포먼스를 좀 더 발전시켜 나간다면 무용이나 음악의 경계를 다른 시각으로 모호하게 만드는 무언가의 실마리를 알게 된 것 같고,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낸다면 조금 더 애매한 무언가를 만들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_진상태 / 음악

18_박주원, 류한길, 진상태

video


solo performance by Joo Won Park (laptop, etc)


trio by Joo Won Park (laptop, etc), Jin Sangtae (acoustic carhorn) and Ryu Hankil (motors, laptop)

 

pics

닻올림 연주회_18 박주원, 류한길, 진상태

 

공간 ‘닻올림’의 6월 연속 연주회중 두번째 연주회이자 열여덟번째 연주회가 2011년 6월 25일 토요일 오후 7시에 열립니다.

2008년 2월 시작한 공간 ‘닻올림’은 오피스텔을 개조한 20석 규모의 소형 공연장 및 레코딩 스튜디오로 즉흥음악을 중심으로 정기연주회 및 영상물 상영회, 전시등를 진행하는 작은 공간입니다.

이번 연주회는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박주원씨와 류한길, 진상태씨의 무대입니다.

연주자

image

박주원 Joo Won Park

전자음악 작곡 및 연구를 하고 있으며 활발한 공연활동을 하고 있다. Bourges 전자음악 경연대회, SEAMUS 전자음악경연대회 등에 수상 경력이 있으며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DVD, Computer Music Journal, The Csound Book, Electronic Musician Magazine 등에 음악 및 글이 출시되었다. 그는 버클리 음대와 플로리다 대학을 졸업 했으며 현재 필라델피아 커뮤니티 대학 에서 작곡과 전자음악을 가르치고 있다. 박주원의 글과 음악은 전자음악 알아보기 (emusic.egloos.com) 라는 블로그와 그의 개인 홈페이지 (joowonpark.net)에서 듣고 볼 수 있다.

 

image

류한길 Ryu Hankil

즉흥연주자. 사물의 진동을 이용한 음향적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 중. 악기가 아닌 것(낡은 전화기, 타자기, 태엽장치 등)을 주로 사용. 자유즉흥음악 연주회인 RELAY 진행. 아시아 즉흥연주자 네트워크인 FEN(Far East Network)의 멤버로 활동 중. http://themanual.co.kr

 

image 

진상태 Jin Sangtae

즉흥음악가. 그는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물을 악기화시켜 즉흥음악에 이용하는 작업을 바탕에 두고 있다. 주로 오픈된 하드디스크를, 랩탑, AM라디오, 자동차 경적 등을 연주한다. 또한 라디오나 기타 픽업을 리시버로 이용하는 필드레코딩 작업도 진행해오고 있다. 2008년부터는 즉흥음악을 위한 작은 공간 ‘닻올림‘을 만들었다. http://popmusic25.com https://dotolim.com

 

 

 

문의 02-707-3118 email info@dotolim.com

홈페이지 https://www.dotolim.com

입장료 1만원

———————————————————————————————————————————————–

좌석 예매 안내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예매를 받고 있습니다.사전에 좌석 예매를 원하시는 분들은 info@dotolim.com로 이름과 휴대전화번호를 적어서 예약 의사를 알려주십시오. 확인후 예매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메일을 통해 보내드리겠습니다.

입장시 주의 사항 (개정)

기존에 닻올림을 이용해주시던 지하 1층 엘리베이터가 자유로이 출입이 불가능해졌습니다. 1층 입구에서 호출을 누르시는 경우 연주중에 많은 지장을 받을 수 있으니, 1층에 있는 경비실에 말씀해주시고 경비원의 안내를 받으셔서 입장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약도

imag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