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올림 백일장] 입선_이옥경 – Nihm

아래의 글은 ‘제1회 닻올림 백일장’에서 입선작품으로 뽑힌 이리나씨의 글입니다. 이 글을 필두로 순차적으로 백일장에서 입선하신 분들의 글을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image 즉흥 음악의 세계에 입문하게 된 앨범, 이옥경의 Nihm

평소 드론 둠과 같이 노이즈적이고 기존의 구성을 따르지 않는 실험적인 음악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새로운 음악을 듣고 싶었다. 그러다 우연히 즉흥 음악을 접하게 되었고 우리나라에 닻올림 이라는 공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닻올림 작가들의 곡을 들어보았는데, 곡의 전개의 낯설음보다는 턴테이블 등 기계에서 나는 소리의 음색이 나의 폐부를 찌르는듯 섬찟했다. 물론 그런 두려운 느낌을 원했긴 하지만 한번만에 온전히 느끼기엔 너무 강렬했다. 그래서 그들의 음악을 잠시 미뤄두고 다른 즉흥 음악을 찾다 이옥경이라는 첼로 즉흥 연주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녀의 음악을 들어 보았다. 그리고 그녀의 음악은 곡 구성은 낯설었지만 첼로의 음색은 나에게 익숙했기 때문에 한번만에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가장 많이 들은 즉흥 음악 앨범이기에, 리뷰를 쓴다.

첫 곡, On a Windy day. 챠임벨 소리가 주된 곡이고, 아래에는 낮은 타악기가 연주되는데, 점점 소리가 고조되었다가 중간에 잠깐 휴식 한 후 점점 엷어진다. 타악기와 챠임벨의 음역 차 때문인지 굉장히 넓은 공간감이 느껴진다. 그래서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 있는 듯 한 느낌이 들었다. 외계에서 맞는 바람이 이런 느낌일까? The Undeniable Empty feeling. 묘한 느낌의 같은 리듬과 비슷한 멜로디가 반복된다. 사실 나는 이 곡을 들었을 때 보사노바 같은 느낌도 들었고 비교적 밝은 느낌이라 주제도 밝을 줄 알았는데 의외로 제목이 우울한 느낌이라 놀랐다. 다른 트랙에 비해선 듣기 편한 트랙이긴 하지만 어딘지 모를 불편함 또한 있는 곡.

Home [Korean Children’s Song]. 집, 어린이의 노래라니 왠지 따뜻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첼로 연주 곡일 것 같았지만 오히려 첼로 연주는 없고 윙윙거리는 기계음과 피아노가 주된 곡이어서 재미있었다. 보통의 의미의 집과는 정반대인, 얼음처럼 차갑고 세상에서 단절된 소외된 집이 떠오른다. Deep Blue Knot. 굉장히 빠른 속도에 멜로디 라인이 거의 없는 곡. 아주 불안한 느낌이 들어서, 마치 풀리지 않는 매듭을 풀고 싶은 마음처럼 생각되었다. 쉴새없이 휘몰아치는 첼로 연주가 인상적인 곡이었다. Closed Window. Deep blue knot와 비슷한데 첼로가 멜로디를 연주한다는 점에서 다른 곡이다. 계속 전개 될 것만 같은 멜로디가 발전되지 않고 계속 반복 되어 불길한 느낌을 주는데, 마치 닫힌 창문을 열고 방에서 나가고 싶지만 나가지 못하는 듯 답답한 심정이 잘 느껴진다.

Story of you and me. 이 앨범에서 가장 서정적인 트랙으로 생각된다. 아름다운 선율의 첼로에 하프는 약간 부조화적으로 화음을 만들어 내어 어딘가 비틀린 사랑을 연상하게 한다. 중간에 약간 휴지기가 있다가 또 앞의 테마가 반복될 뿐, 끝나는 종장의 느낌은 없어서 곡이 끝나지 않는 듯한 여운을 남긴다. Anything You Say, Anything You (Don’t) Say. 첼로와 하프가 시종 일관 음이 빠른 속도로 연속적으로 저음에서 고음까지 이동하며 연주되는데, 그와 동시에 감정의 폭도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내린다. 그 점이 이색적이고 매력적이었다. 또 첼로의 꺾이는 소리가 마치 귀신의 울음 소리 같이 들려 굉장히 불안한 느낌을 주는 곡이었다. 내가 이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Returning Point. 불안한 음색의 낮은 드럼음은 거의 변화를 주지 않고 반복되고, 첼로는 천천히 연주 된다.  완전히 폭발된 긴장감은 아니지만 어딘지 모르게 조용한 불안한 느낌.  마치 스릴러 영화에서 경찰이 범인을 뒤쫓는 장면을 볼 때와 같이 긴장된 느낌이 든다. 계속 듣고 있으니 마치 내가 범인이 되어 쫓기는 듯한 기분이 되었다.

Sky. 기존의 곡 같았으면 발전할 한 메인 테마가 실험 음악답게 발전하지 않은 채 끊임 없이 맴돈다. 밑의 저음만이 점점 범위를 넓혀갔다가, 다시 잦아들었다 할 뿐이다.  ‘하늘’이 우리에게 주는 보통의 청량하고 맑은 느낌보다는 어딘가 왜곡되고 무너져가는 이상한 하늘의 느낌이 든다. Tuesday Morning. 첼로와 반대된 클라리넷의 톤이 의외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곡이었다.

사실 그녀가 인터뷰에서도 말했듯, 이 앨범은 완전히 한 순간에 즉흥 연주되어 완곡이된, 완전한 즉흥(free improvisation)으로 이루어진 앨범은 아니다. 그렇지만 작곡할 때 어느 정도의 즉흥이 개입된 앨범이기에 계산되지 않은 자유로움과 낯섬을 느낄 수 있었다. 양한 새로운 악기들로 새로운 음색을 탐험하는 대신 첼로라는 악기에서 할 수 있는 소리 실험, 감수성의 확장에 성공한 앨범이라고 생각된다. 또 개인적으로는 이 앨범을 시작으로 조금씩 즉흥 음악에 대해 마음의 문을 열고 이것저것 찾아 듣기 시작하고, 알아가게 되었기 때문에 내 마음 속에 오래 기억될 앨범이다.

글 / 이리나

[결과발표] 제1회 닻올림 백일장

안녕하세요 닻올림입니다.

 

먼저 결과 및 총평에 대한 업데이트가 예상보다 늦어져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제1회’ 닻올림 백일장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장원 : 해당작 없음
차석 : 이언 존 허친슨(Ian-John Hutchinson) – Inferior Sounds
입선 : 이미연 – 재즈 라일리 프렌치 닻올림 공연
         이리나 – 이옥경 nihm 감상평

  • 총 3작품이 응모해 주셨습니다. 응모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장원에 해당하는 상금은 다음 2회 백일장으로 이월되어 더해집니다.
  • 당선자들의 글은 추후 닻올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 당선자들에겐 개별적으로 안내가 되어질 예정입니다. 

* 제1회 닻올림 백일장 총평보기 클릭

 

‘닻올림 백일장’에 관심가져주신 모든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 의미있고 내실있게 준비해 백일장 및 다른 이벤트들로 찾아뵙겠습니다. 지속적인 관심 부탁 드립니다.

 

– 닻올림 https://dotolim.com

[총평] 제1회 닻올림 백일장

아래 글은 지난 2012년 2월 한달간 접수 진행되었던 ‘제1회 닻올림 백일장’에 대한 심사위원장 홍철기씨의 총평입니다. 이자리를 빌어 응모해주셨던 어려분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린다는 말씀 전합니다.

결과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제1회 닻올림 백일장 결과보기]



———————————————————

솔직히 말해서 과연 내가 이러한 총평을 해도 되는 입장인지는 잘 모르겠다. 무엇보다도 내가 즉흥음악이나 노이즈 음악에 대해서 갖고 있는 입장이라는 것이 지금까지는 말하기보다는 직접 행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고, 그래서 나같이 음악도 정식으로 배운 적이 없고, 남들이 악기 연습을 할 때 딴 짓거리만 해서 결국에는 남들이 ‘무식한 음악’이라고 하거나 ‘개나 소나 할 수 있는 음악’이라고 부르는 것을 무작정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나는 그래서 즉흥음악이나 노이즈음악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는 것이란 내가 남들보다 잘 아는 어떤 것을 알려주거나 가르쳐주는 일이 아니라 (비록 이러한 음악에 사람들이 많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일지라도) 나도 잘 모르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같이 생각해보고 내가 알 수 없었던 것들이 그 과정에서 알 수 있게 된다면 좋겠는 어떤 것이 되었으면 하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이것에 대해 말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고 있다. 그런 점에서 닻올림 백일장은 어찌 보면 진부하다고 할 수 있는 형식("백일장")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진부하지 않은 시도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음악에 대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가? 특히나 그 음악이 무엇인지 실체를 규정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그 음악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을까? 남들이 규정해 놓은 것이 없거나 부정적인 경우(‘~가 아닌 것’)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우리는 이야기해야한다. 그리고 닻올림 백일장에 제출된 글들은 바로 이러한 용감한 시도들이라고 생각한다. 즉흥음악이나 실험음악 공연을 봤을 때, 혹은 음반을 들었을 때, 단순히 ‘좋다’거나 ‘대가의 명반’이라는 방식의 숭배(그리고 그 반대로 아마추어의 졸작이라는 식의 이분법)가 아니라 관점과 생각의 차이를 서로 확인하고 소통할 수 있는 관객, 혹은 청자의 언어가 필요하다. 그 언어는 관객과의 대화에서 예술가에 대해 일종의 심사위원 선생님으로서 던지는 질문이나 평가, 혹은 그렇지 않다면 잘 모르니 배우겠다는 식으로 선생님 예술가에 대한 겸손한 학생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라 관객들과 청자들 사이에서 동등하게, 그리고 음악가 또한 이러한 관객과 청자의 입장에서 소통하고 논쟁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지 않겠는가?

가장 먼저 제출되었고, 가장 긴 분량에 (그러나 아쉽게도, 그렇지만 또한 고맙게도) 영어로 쓴 이언-존 허친슨의 글은 나와 나의 친구들의 음악(활동)에 대한 포괄적이지만 세심한 분석을 담고 있다. 내가 평론의 대상이 되는 당사자이다보니 이 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쉽지 않을 듯하다. 허친슨의 글은 하나의 고민거리를 안겨주는데, 과연 이런 음악에 대해 한글로 이렇게 영어로 쓰인 글만큼의 내용과 분량의 평론을 과연 쓸 수 있는가 하는 고민이다. 그것은 누군가의 능력부족의 문제라기보다는 한글로 이와 같은 표현을 할 수 있는 언어적 장치들과 개념들이 그 사이에 고안되고 갈고 닦아 졌느냐 하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단지 영어로 된 평론이 보다 깊이 있고, 한글로 된 평론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라는 문제가 아니라 한글로 나름의 방식으로 이와 같은 평론(당연히 다른 관점과 생각에서)이 어떻게 앞으로 가능할 것인가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제출된 이미연의 글은 작년에 한국을 방문했던 제즈 프렌치 라일리의 닻올림 공연에 대한 비평문이다. 허친슨의 글과 달리 짧은 분량의 공연에 대한 평이지만 두 글은 모두 각자의 관점에서의 세심한 관찰과 그 관찰을 바탕으로 하여 진행된 사고에서 출발한다는 점이 느껴진다. 특히 필드 레코딩 아티스트로서 야외에서, 혹은 실내에서 소리를 "채집"하는 제즈 프렌치 라일리의 태도가 그의 연주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관찰하는 필자의 사고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접수된 이리나의 글은 즉흥음악에 입문하는 청자의 입장에서 닻올림의 음악가들이 만들어내는 날 것의 소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이옥경의 솔로 음반 <Nihm>에 대한 감상문이다. 앞선 두 글이 주로 글을 쓴 필자의 사고의 과정을 따라간다면 이 글은 이 음반에 수록곡들의 진행방식을 묘사하면서 그것이 주는 감정과 정서를 묘사하는데 더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방식으로 쓰여 졌다. 물론 필자 본인이 말하듯이 아직은 입문의 단계에서 쓴 글이라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개념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게 되는 실험음악 평론에서 감정의 중요성을 떠올리게 하는 글이다.

글 / 홍철기